OpenStreetMap logo OpenStreetMap

Diary Entries in Korean

Recent diary entries

도로 상에 존재하는 터널이나 교량에 대하여, 해당 구간에 속한 도로의 name 태그를 수정하여 터널이름, 다리이름을 입력하는 경우가 빈번히 보입니다.

하지만 이는 원칙적으로 잘못된 방식이며, 공식적으로 권장되는 매핑 방식은 name 태그 대신 tunnel:name 내지는 bridge:name 태그를 사용하여 구조물 명칭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추가적으로 교량의 경우 구조물을 따라 area를 그리고, 거기에 man_made=bridge 태그를 붙여 나타냅니다. 그리고 해당 area의 name 태그에 교량 명칭을 입력합니다.

이런 매핑 방식을 사용하면 해당 도로 전체를 편집할 때에도 Overpass API 등으로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오픈스트리트맵(OSM)에 꽤 많은 노트(note)가 붙고 있지만 제대로 살펴보는 사람이 적어서 오랫동안 방치되는 일이 많습니다.
살고 있는 지역이나 관심있는 지역에 붙는 ‘노트’ 내용을 RSS로 받아볼 수 있는 방법을 적어 보고자 합니다.
RSS 받기 봇을 쓰면 OSM에서 흔히 쓰는 ‘텔레그램’에서도 그 내용을 받아 볼 수 있습니다.

방법 1

  1. 테두리 상자 선택 연장을 엽니다.
  2. Alt 키를 누른 채로 테두리를 정하는데, 한국의 경우 시·군·구 정도나 그보다 약간 넓은 정도의 영역이어야 하는 것 같습니다.(처리하기 어려울 정도로 넓은 영역을 잡으면 에러가 납니다.)
  3. 아래 쪽 항목 가운데 맨 위 ‘API, XAPI, Maperitive, osmconvert, osmium’ 항목의 숫자를 복사해 놓습니다.
  4. http://api.openstreetmap.org/api/0.6/notes/feed?bbox=smaller_longitude,smaller_latitude,larger_longitude,larger_latitude에서 ‘smaller_longitude,smaller_latitude,larger_longitude,larger_latitude’ 부분에 그 숫자를 붙여 넣으면 RSS 주소가 완성됩니다.
  5. RSS를 읽어들일 수 있는 곳에 그 주소를 붙여 넣으면 됩니다.

방법 2(아주 간단한 방법)

OSM QA Feeds 연장을 열고 찾고자 하는 지역을 검색해 들어간 다음 테두리 상자를 조절하면 됩니다.
이 때에도 한국의 경우 시·군·구 정도의 넓이로 잡는 것이 좋습니다.

Open the OSM QA Feeds tool, search for the region you want to find, and adjust the border box.
A good rule of thumb is to make it about the size of a county. If it’s too wide, it won’t be able to process it and will throw an error.

아래 풍력발전기들은 위성사진상 풍력발전기인 건 맞으나, 어느 발전소인지 불명확한 것들임. 아마도 발전기 설치만 하고 계통병입을 아직 안 해서 EPSIS에 집계가 안 되고 있는 상황인 것으로 여겨짐. 추후 EPSIS에 노출되는 대로 정리 및 추가할 예정.

노드번호 Ref 위도 경도 구좌읍 월정리 node/6740186186 n.a. 33.5168579 126.7594851

구좌읍 김녕리 node/7641971542 n.a. 33.5587855 126.7711681 node/7641971500 n.a. 33.5633738 126.7724564

홍성군 node/9196588574 n.a. 36.5196404 126.4383888

부안군 node/11336347287 n.a. 35.5804069 126.665816 node/11336347288 n.a. 35.5804614 126.6656966 node/11336347289 n.a. 35.5805934 126.6656148 node/11336347290 n.a. 35.5807025 126.665584 node/11336347291 n.a. 35.5808432 126.66558

울릉군 node/10805235767 n.a. 37.5156583 130.815123

구좌읍 행원리 node/10763132616 n.a. 33.5540301 126.821713 node/6740186185 n.a. 33.5164777 126.7595529 node/3753982805 n.a. 33.5378955 126.7886977

태안군 node/10236801603 소형 발전 36.7694299 126.304618

해남군 화산면 삼마리 node/6979989839 n.a. 34.4369591 126.4321187 node/6979989840 n.a. 34.436909 126.4320674 node/6979989841 n.a. 34.4368105 126.4320219 node/6979989842 n.a. 34.4367229 126.432204 node/6979989843 n.a. 34.4367886 126.4322799 node/6979989844 n.a. 34.4368496 126.4323444 node/6979989845 n.a. 34.4366369 126.4323595 node/6979989846 n.a. 34.4366979 126.4324335 node/6979989847 n.a. 34.4367573 126.4324999 node/6979989848 n.a. 34.4366181 126.4325568 node/6979989849 n.a. 34.4372172 126.4326744 node/6979989850 n.a. 34.4374252 126.4327275 node/6979989851 n.a. 34.4365847 126.4330987 node/6979989852 n.a. 34.4370462 126.4325335

거창군 북상면 node/4483840546 n.a. 35.7911736 127.704751

일단 동문1동의 학동 지점 건물 및 도로 추가 완료했습니다. 차기에는 서산제일감리교회 동편 지역, 그리고 서령로 남측 지역 추가… 점점 점진적으로 추가할 예정입니다.

빨라야 반 년 뒤에는 끝날 거 같네요.

이후에는 성연면 (서산테크노밸리), 인지면, 부석면, 해미면, 대산읍, 음암면, 운산면, 고북면, 지곡면 순으로 편집해나갈 예정입니다. 물론 해당 지역들은 바뀌어질 수도 있습니다. 길어야 5년은 될 거 같네요

Location: 읍내동, 서산시, 충청남도, 31970, 대한민국
Posted by aaei924 on 29 October 2023 in Korean (한국어). Last updated on 31 October 2023.

공공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류소 태그를 생성해 주는 도구입니다. 현재 경기도, 서울특별시 소재 정류소에만 사용 가능합니다.

https://prws.kr/osmtags/busstops


사용 방법

정류소번호나 명칭을 검색한 후 복사하고자 하는 태그 유형이 적힌 버튼을 클릭하면 텍스트 형식으로 클립보드에 복사됩니다.

태그 정보

  • 정류소: highway=bus_stop
  • 승강장: public_transport=platform
  • 정차위치: public_transport=stop_position

위의 기본 태그 이외에 국문 및 영문 명칭(일부 지원)과 정류소ID, 네트워크 정보(경기도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유의 사항

지역별로 제공되는 데이터의 차이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 생성되지 않는 태그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업데이트 내역

  • 11월 1일: 서울특별시 정류소 지원 추가
Posted by aaei924 on 19 October 2023 in Korean (한국어). Last updated on 30 November 2023.

도로의 분류 기준


현실의 국가에서

일반적으로 도로의 위계를 구분함에 있어서는, 해당 도로가 연결하는 지역의 성질을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1. 여러 도 혹은 국가적으로 중요한 지점 사이를 잇는 도로 (국도에 대응)
  2. 여러 시/군 사이를 잇는 도로 (지방도에 대응)
  3. 여러 읍/면 사이를 잇는 도로 (시/군/구도에 대응)
  4. 하나의 읍/면 내에서 여러 동/리 사이를 잇는 도로
  5. 하나의 동/리 내부를 잇는 도로

이런 식의 지역 단위를 기준으로 한 분류 체계는 일제강점기부터 오늘날 남북한에서까지 이용되고 있는 유서 깊은 방식입니다. 그만큼 검증되고 확실한 분류 체계라는 의미도 될 수 있습니다.

도시계획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제9조제3호에 따른 기능상의 구분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어느 도로가 어디 해당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vworld 등에서 도시계획도로 정보를 참고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주간선도로
  • 보조간선도로
  • 집산도로
  • 국지도로

일반적으로 주간선도로에서 보조간선도로가, 보조간선도로에서 집산도로가, 집산도로에서 국지도로가 분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오픈스트리트맵에서

현재 OSM에서 통용되는 한국 지역의 편집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의 주요/비주요 도로는 iD편집기 상 카테고리입니다.)

  • 주요 도로
    • 1차: 국도
    • 2차: 지방도
    • 3차: 시/군도
  • 비주요 도로
    • 주거: 주거 구역을 연결하는 도로
    • 주택가: 거리 구역/마을 안의 길
    • 미분류: 마을 등을 잇는 샛길, 임도와 유사함
    • 트랙: 관리 도로(농로/임로)
    • 서비스: 시설 내부 접근 도로/진입로 등

현 체계의 문제점


비주요 도로 분류 기준의 불명확성

현재 비주요 도로는 주요 도로에 비해 분류 기준의 명확성이 떨어지는 상태입니다. 명확성이 주요 도로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은 어쩔 수 없으나, 가능한 한 명확한 기준을 세울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주거, 미분류 도로의 잘못된 기준

현재의 기준을 보면 주거 도로는 주거 구역을 이어주며, 주거 구역 바깥의 길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영문판 위키의 태그 설명을 참고해 보면, 원 의미가 ‘마을을 연결하는 기능이 없는 주거지로의 접근을 목적으로 하는 도로’입니다.

Roads which serve as an access to housing, without function of connecting settlements.

  • 영문 위키의 설명 -

즉, 현재 한국에서의 ‘주거 도로’ 기준은 원래의 개념과 완전히 다른 것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주거 구역 바깥을 이어 주는 도로는 오히려 ‘미분류 도로’(unclassified)가 적절합니다.

미분류 도로의 경우, 원래 한국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지만, 한국의 분류 기준 설명에서는 주택가 도로와 트랙 사이에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highway 태그의 설명을 보면, unclassified는 tertiary의 바로 다음 단계입니다. 원래 미분류 도로가 가리켜야 하는 것은 작은 규모(마을보다 크고 도시보다 작음)의 지역 내부를 이어 주는 도로이지만, 현행의 체계는 이것을 ’주거 도로‘로 태그하라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물론 마을 등을 잇는 샛길이라는 현재의 특성은 이 기준에서 벗어나지 않지만, 위계가 잘못 정해져 주거 도로의 분류가 우선되고 있는 현재의 상황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정 지역에서 지역적 특성에 기반하여 구체적인 기준을 정하는 경우에는, 그 기준이 원래의 개념과 체계 전체에 비추어 보았을 때 괴리가 가급적 없어야 합니다. 그런 점에서 현재의 기준은, 가장 기본적인 위계조차 잘못 설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개선이 요구됩니다.

trunk 태그에 대한 오해석

영문판 위키에 의하면, highway=trunk는 도로망에서 가장 중요하지만 고속도로가 아닌 도로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Trunk 태그의 국가별 용례들을 보면, 대부분 1순위 도로, 국도를 분류하는 태그로 쓰입니다. 한편 고속화도로는 국도일 수도, 시도일 수도 있는 대상인데 이를 무조건 국도(primary)보다 더 중요한 도로로 분류하는 것이 적절한지가 문제됩니다. 가령 수석호평로는 시 내부를 연결하는 시도이지만 고속화도로에 해당하여 국도(primary)보다 상위 등급인 고속화도로(trunk)로 태그되어 있습니다.

고속화도로를 나타내는 태그로 expressway=yes가 존재하기 때문에(자동차전용도로인 motorroad=yes와 다름), 고속화도로임을 나타내는 것에는 해당 태그를 사용함이 적절합니다. 즉, highway=* 키를 통하여 고속화도로임을 구분하는 것은 잘못되었다는 것입니다. 지도를 렌더링하는 측에서는 expressway 태그를 통해 고속화도로를 쉽게 구분해낼 수 있습니다.

개선 방안


이하에서 말하는 ‘동’과 ‘리’ 지역은 법정동/리를 의미합니다. 인구 비례에 맞게 편성되는 행정동 대신 지역을 나타내기에 더 적합한 법정동을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trunk

trunk 태그의 원 의미를 반영하여 국도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한편, 이렇게 개편되는 경우 올림픽대로, 분당수서로 등의 도시고속화도로가 1차 도로로 분류될 것인데, 과연 이들 도로가 서울 시내의 일반적인 특별시도와 동등한 수준의 중요성을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는지가 문제됩니다. 고속화도로가 고속도로에 준하는 도로로서 일반 도로에 비해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고 여겨지는 것은 분명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기준의 일관성 유지 측면에서 보자면 등급에 따른 분류가 우선되는 것이 옳고, expressway 태그를 통해 고속화도로를 구분해낼 수 있으며, 이렇게 구분된 고속화도로를 더 중요한 도로로 취급하는지의 문제는 expressway 태그를 지도로 렌더링하는 측에서 고민할 사항이라고 생각합니다.

국가지원지방도에 관하여

일반 지방도와 국도 사이의 중요성을 가지는 국가지원지방도를 어느 단계로 태그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그동안 많은 논쟁이 있어왔던 것 같습니다.

국도와 동등하게 하자는 견해는, 국가지원지방도가 국도준용도로서 국도로의 승격을 고려하여 지정된 도로이고, 실제로 국도와 거의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일반지방도에 대해 우위에 있는 도로임을 나타내야 한다는 것입니다.

지방도와 동등하게 하자는 견해는, 국가지원지방도는 지방도의 한 종류이며 국도로 지정될 도로를 일부러 지방도로 지정하고 있는 상태이고, 도에서 관리한다는 점에서 관리 주체를 기준으로 한다는 분류의 의의, 고속도로와 국도로 이루어진 기간도로망을 ‘보조’한다는 목적 등을 보아 국도보다 낮은 단계로 하는 것이 옳다는 것입니다.

둘 다 일리 있는 주장이지만 저는 지방도와 동급으로 분류하자는 쪽을 지지합니다.

2차~3차 도로

도농복합시가 아닌 시에서는 모든 시내도로를 시도로 지정하고 있음을 고려하여, 도로의 중요도를 더 충실히 반영할 방법을 고려하였습니다. 아직 사례를 찾지 못했으나 도농복합시의 시내 지역이 이렇게 되어 있는 경우에도 역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도시 내의 주요 간선축이 되는 도로의 경우 여타 도로에 비해 많은 수의 동네를 지나간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이보다 약간 낮은 수준의 도로도 인접한 두 동네를 연결하는 경우는 흔히 있어 2차 도로는 3개동을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도농복합시나 군 지역의 2차 도로의 경우, 시가지나 읍끼리, 혹은 시가지나 읍에서 면을 잇는 도로는 대부분 해당 지역의 주요 교통로가 됨을 감안하였습니다.(시가지나 읍은 대개 해당 시/군의 중심지가 되기 때문입니다) 면과 면 사이의 도로는 이보다 더 규모가 작은 지역간을 잇는 것으로 이보다 약간 낮은 수준이면서도 면 내부를 잇는 도로보다 더 우위에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3차 도로로 정하였습니다.

4차(미분류) 도로

일단 ‘미분류 도로’가 가리키는 대상을 수정해야 합니다. ‘주거 도로’와 비슷해 보이지만 주거지로의 접근을 주된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3차 도로보다 덜 중요하면서 주거 도로가 아닌 것‘으로 정의되어 있는 만큼, 이 태그는 교통 도로를 분류하는 것에 쓰여야 한다고 봅니다.

영문판 위키의 구체적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공공 도로이며,
  • 3차 도로보다 덜 중요하고,
  • 자동차가 이용할 수 있고,
  • 주거(residential)나 농업 도로(track)가 아닌 것

상세 설명에서는, 3차 도로와의 구분이 어려울 수 있다고 적혀 있습니다.

3차 도로인 시/군/구도가 시/군 지역 내의 여러 지역 사이를 잇는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미분류 도로는 이를 보조하는 도로로서 읍/면 내 여러 리 혹은 리 내부의 여러 마을을 잇거나(읍면지역의 경우), 시내(동 지역)의 동 내부를 잇는 보조간선도로에 태그하는 것이 적절해 보입니다. 흔히 블럭 외부를 지나는 길을 말합니다.

주거 도로

주거 도로는, 간선도로(1~3차 + 미분류 도로)에서 갈라져 작은 단위의 한 지역(동/리) 내부를 연결하는 도로로서 주거지로의 접근을 주 기능으로 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택가 도로

이 문단은 주택가 도로에 대해 상세히 분석한 후 새로 작성되었습니다. ljc님께서 커뮤니티에 제기해 주신 의견을 바탕으로 living_street 태그에 대한 설명, 세계 각국에서 사용 중인 도로표지, 위키피디아의 설명 등을 참고하여 면밀히 분석한 결과, 의견대로 국내에서는 보행자우선도로가 가장 그 의미에 부합함을 확인했습니다.

보행자 우선도로는 2022년 7월 도입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통행을 위한 도로는 아니지만 자동차의 통행이 가능하며, 보행자의 안전한 이용을 고려하고 차량의 통행을 억제하려는 성격이 강합니다. 이는 단순히 보행자와 차량이 같이 이용하는 도로인 이면도로와의 차이점이 됩니다.

보행자우선도로의 형태적 특징을 보면, 보도가 따로 존재하는지의 여부는 무관하지만 대체로는 아닌 편입니다. 또한 아스팔트가 아닌 보도블럭 등으로 포장된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알록달록하게 페인트칠이 되어 있습니다.

태그 이름을 그대로 직역하면 ‘생활 도로’에 가까우나, 국내에 여럿 지정되고 있는 생활도로구역의 모습을 보면 living_street 태그가 가리키는 것하고 동떨어진 곳도 많이 보이고 있습니다.

농어촌도로의 분류

읍면지역의 경우 시/군도 하위에는 농어촌도로인 면도, 리도, 농도가 존재합니다. 조사가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지만 이들도 일정한 위계를 가지고 있는 만큼, 등급별 분류 방안이 결정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미분류, 주거, 트랙으로 각각 대응시킨다면 큰 어려움 없이 분류가 가능합니다.

정리


위 내용을 종합하여 제가 제안하는 분류 체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 trunk: 일반국도
  • 1차(primary): 지방도(국가지원지방도 포함)
  • 2차(secondary): 시도(도농복합시), 군도, 구도, 기타 시가지/읍과 면, 3개 이상의 법정동을 잇는 도로
  • 3차(tertiary): 면과 면 혹은 2개의 법정동 사이를 잇는 도로
  • 4차/미분류(unclassified): 면도, 법정리 내 여러 마을을 잇는 도로, 법정동 내부만을 잇는 보조간선도로
  • 주거(residential): 리도, 집산도로 및 국지도로
  • 주택가(living_street): 보행자 우선도로
  • 트랙(track): 농도, 임도 등
  • 서비스(service): 사도(私道), 시설/사유지 진입로 및 내부 통로 등

1,300 HOURS IN A KAYAK - USA / CANADA ⓒMark Ervin/Youtube A kayaker takes a 11,000-km solo journey to 'reverse the bad.' There was lots of stealth camping

‘힘들지만 가치 있는 여행’이라는 말을 들으면 무엇이 떠오르나요? 산티아고 순례길 걷기? 아니면 자전거 전국 일주? 여기 6800마일(약 1만 1000km) 물길을 카약 하나에만 의지해 다닌 사람이 있어요 🛶. 바로 노르웨이 오슬로에 사는 캐나다인 마크 퍼만 씨예요.

올해 65세인 마크 퍼만 씨는 작년 6월에 카약을 타고 출발해 지난 8월 2일에 목적지에 도착했어요. 그가 노를 저은 시간을 다 합치면 1643시간인데요. 무려 68일 연속으로 1초도 쉬지 않고 노를 저은 것과 맞먹는다고 💪. 뭐 바다라도 건넜냐고요? 그건 아니고, 캐나다 동쪽과 미국 동남쪽 마이애미를 잇는 물길인 그레이트 루프(Great Loop)예요. 퍼만 씨는 홀로 카약을 타고 그레이트 루프를 완주한 최초의 사람이 됐고요(그의 이동 경로 📍).

그가 남다른 모험 정신으로 그레이트 루프에 도전한 건 아니에요. ‘국경없는의사회’ 등 자선단체에 기부할 돈을 마련하기 위해서였는데요. 부정적인 것에 압도되어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다시 일어설 용기를 주고, 환경 보호 메시지도 전하고 싶었다고. 그는 여행을 마친 뒤 이렇게 말했어요 🗣️: “지옥 같은 여행이었어요. 하지만 고통을 겪을 만한 가치가 있었어요. 후원자와 자연, 내면 깊은 곳과 연결될 수 있었거든요.”

Posted by adreamy on 21 June 2023 in Korean (한국어). Last updated on 24 June 2023.

그들에게 나쁜 뜻은 전혀 없으며, 정보를 더 쉽게 접할 수 있는 곳을 알려주려는 친절한 뜻이라는 것은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의 문제라면 그 지역 커뮤니티로 안내해 주는 건 이해가 되는데, 단지 언어가 영어가 아니라는 것 때문에 ‘해당 지역 커뮤니티로 가면 더 좋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 건 친절함일까요, 배타성일까요?
그럼 영어가 서툰 아시아 사람은 아시아 커뮤니티에서만 활동해야 하고, 영어가 서툰 한국 사람은 한국 커뮤니에서만 활동해야 하는 걸까요?
거꾸로, 그럼 영어 밖에 말할 줄 모르는 사람은 설령 그 곳이 어디든지간에 영어 커뮤니티 혹은 자국 커뮤니에서만 머물러야 할까요?
언어의 장벽에도 불구하고 다른 커뮤니티에 어울리려는 노력은 아름다운 일이 아닙니까?

왜 ‘OSM UK’는 없는 걸까요?(그런데 ‘OSM US’는 왜 있는 거지요?)
왜 ‘OSM English’는 없는 걸까요?(공식 커뮤니티인 ‘OSM Forum’ 바깥의 비공식 채널들에서)

하고 싶은 말은 훨씬 더 많고 꺼내 놓을 보기 또한 많지만,…… #할많하않


I’m sure they don’t have any bad intentions, and I’m sure they’re trying to be kind and let them know where they can get more information, but if it’s a local issue, it makes sense to direct them to that community, but if it’s just because their language isn’t English, is it kindness or exclusivity to say, “You can get better information if you go to that community”?
Does this mean that Asian people who don’t speak English should only be active in Asian communities, and Korean people who don’t speak English should only be active in Korean communities?
Or conversely, should someone who only speaks English stick to the English community or their own community, wherever that may be?
Isn’t it a beautiful thing to try to fit in with other communities despite language barriers?

Why isn’t there an “OSM UK”?(within OSM Forum. And why is there an “OSM US” anyway?)
Why isn’t there an “OSM English”?(on unofficial channels outside of the official OSM Forum.)

There are a lot of things I could say and examples I could give, but I won’t. #not_much_to_do


Posted by adreamy on 13 June 2023 in Korean (한국어). Last updated on 15 June 2023.

먼저, 흔히 광장과 같은 ‘보행자 지역’을 제대로 태그하는 것이 왜 중요한가 하면,…
그런 곳을 ‘영역’(area=yes)로만 태그하면 그 곳을 길찾기(routing), 길 안내(navigating)에서 길을 이어주지를 못 합니다.
따라서, ‘보행자 지역’을 ‘영역’으로 지정함과 동시에 ‘highway=pedestrian’으로 태그하면 영역의 바깥선을 따라 길을 이어주게 됩니다.
가장 좋은 것은 영역으로 지정하되 ‘area=yes’가 아니라 ‘area:highway=pedestrian’으로 하고 동시에 ‘highway=pedestrian’ 하는 것입니다.

참고로 OSM 위키에서는 ‘highway=pedestrian’ + ‘area=yes’ 사용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길찾기가 제대로 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Posted by adreamy on 4 June 2023 in Korean (한국어). Last updated on 5 June 2023.

오픈스트리트맵 위키에서 ‘대피 시설’ 갈래를 가지런히 한 이야기(shelter, assembly point, bunker)

우리 말에서도 그리 여러 갈래로 나뉘어 있지는 않습니다만, 우리가 ‘대피소’라고 하면 재난을 피해서 혹은 재난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장소나 시설을 먼저 떠올립니다.
그렇다 보니 영어로 ‘shelter’가 바로 그런 장소인데, 정작 오픈스트리트맵 위키의 ‘shelter’ 항목에는 정류장 휴식 시설 같은 것이 올라있어 살짝 당황스러울 수가 있습니다.
사실 OSM 위키의 ‘shelter’ 항목에는 기후, 악천후 대피시설이 일부 들어있으며 우리도 관용적으로는 그렇게 쓰기도 합니다.

여튼, 대피소, 대피시설을 두루 살폈는데, 역시나 (뭇사람들이 편집하는 위키에서 거의 늘 일어나듯이)OSM 위키에서도 몇몇 군데가 서로 뒤섞여 있거나 애매해서 나름 정리를 하였습니다.(먼저, 논의를 통해 합의를 이끌어 내 보려 했으나 제 영어 실력이 딸리고 말 주변이 없는 데다가 짧고 간단하게 밖에 쓸 수 없는 영어 실력이다 보니 뜻을 이루지는 못 했습니다.)

먼저, ‘shelter’ 항목은 주로 기상, 악천후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시설물인데, 특이하게도 ‘낙진 대피소’가 거기에 포함되어 있어서 이건 ‘bunker’ 쪽으로 옮겼습니다. 그 밖에는 크게 건드릴 것이 없었습니다.

두번째로, 재난 시 임시 대피 장소이며 집합 장소인 ‘emergency=assembly_point’인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최근 해일에 대비한 피난 장소와 원전 주변 지역에서 원전 사고시 대피할 수 있는 장소이며, 상황이 나쁠 때에는 정부의 대피 과정에 대비하기 위한 집합 장소가 있습니다.(일단 여러모로 알아본 바로는 외국의 경우에도 크게 여기서 벗어나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다른 나라까지는 잘 모르겠지만, 가까이 일본이나 대만도 이와 비슷한 체계들이 있습니다.)
이 속성의 특징으로는, 그야말로 임시 대피장소이며 다음 단계에 대비한 집합장소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일본의 쓰나미 대피처의 경우에는 쓰나미의 세기에 대한 조건으로 안전 높이가 설정되어 있습니다.(아마 우리나라도 있지 않나 싶습니다.)
또, 그냥 열려있는 공간일 수도 있고 일부 체육관 같은 튼튼한 구조물일 수도 있습니다.

그 밖에 좀 흐릿했던 것이 바로 우리나라 경우 ‘민방위 대피소’라고 부르는 ‘민간 방호 시설‘인데 이건 정말로 임시로 긴급하게 폭격의 1차 피해로부터만 보호받는 것이기 때문에 ‘emergency=assembly_point’에 넣는 것이 좋지 않을까 했으나, 여러가지 속성들을 살펴보고 외국(주로 대만)의 경우까지 살펴본 바 ‘bunker’ 쪽에 들어가는 것이 알맞겠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다만, ‘bunker’가 주로 군사시설인데 견줘서, ‘민간 방호 시설’의 대부분은 평상시에는 민간인의 접근이 자유로운 곳들인 것이 좀 걸렸습니다만, 모든 조건이 깔끔하게 갈래지을 수는 없을 것입니다.(우리와 비슷한 군사적 상황을 가진 나라들은 비슷할 것입니다. 당장 가까이 대만 같은…)
어쨋든 비록 군사시설로 갈래짓지는 않지만, 정부의 관리를 받는 지정된 장소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대만의 경우에 대해 조금 더 덧붙이자면, 우리처럼 민간 시설을 이용한 긴급 방호 시설도 있으나 일부는 군과 함께 공유하는 곳도 있는 모양입니다. 방공시설 곁에 군의 방어 시설-보기를 들어서 대공포, 박격포 진지, 군 참호 등-이 있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이렇게 해서 크게 세 갈래로 갈래지었습니다.
* shelter : 악천후 대피소(inclement weather shelters)
* assembly_point : 재난시 임시 대피 장소, 집합 장소(Temporary evacuation sites and assembly areas during disasters)
* bunker : 견고한 방호 시설(주로, 군사 시설) (Relatively heavily defended facilities (primarily, military installations))

별로 영양가는 없습니다만, 관련 논의 몇 군데 고리 겁니다.
* Clean up the types of ‘shelter’ on the OSM wiki :
* 대피소(shelter/assembly_point)와 관련한 문의 :

— — —
이어질 논의를 위해서 ‘한국’(남한)의 경우 재난에 대비하는 대피 시설에 대해 정리해 놓겠습니다.(기후 대비 시설도 일부 들어 있습니다. 즉 OSM 위키에서 ‘amenity=shelter’ 항목)

한국의 안전시설에는, 민방위 대피소, 민방위 급수시설, 지진대피장소, 지진겸용 임시주거시설,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화학사고 대피장소, 무더위 쉼터, 한파 쉼터, 미세먼지 쉼터 같은 것이 있습니다.
이 가운데 ‘민방위 급수시설’은 사람이 직접 이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빼고, ‘지진겸용 임시주거시설’, ‘이재민 임시주거시설’은 ‘social_facility=shelter‘에 가깝습니다.
‘지진겸용 임시주거시설’은 그에 덧붙여 ‘assembly_point:earthquake=yes’ 속성을 주면 되겠습니다.
‘민방위 대피소’는 ‘벙커’ 가운데 ‘bunker type=bomb shelter‘로 지정하면 됩니다.
‘지진대피장소’는 다시 ‘지진옥외대피장소’와 ‘지진해일긴급대피장소’로 나뉘는데, 모두 ‘assembly_point‘이며, 하위 속성에 따라서 ‘assembly_point:earthquake=yes’와 ‘assembly_point:tsunami=*’ 키를 알맞게 쓰면 되고, 덧붙여 해일의 경우에는 해일의 세기에 따라 안전 높이를 설정하는 키도 있으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화학사고 대피장소’는 별다른 방호시설을 갖추지 않는다는 점에서 ‘assembly_point’에 가깝습니다.
‘무더위 쉼터’, ‘한파 쉼터’, ‘미세먼지 쉼터’의 경우에는 별다른 시설이 아니라 냉난방 시설이 갖추어진 곳, 공기조절 시설-공기 정화 시설이 아닙니다!-이 갖추어진 곳일 뿐이기 때문에 이건 그냥 ‘건물’의 하위 속성으로 보는 것이 나을 것 같습니다.(좀 정리를 하긴 했으면 싶은데, 합의하기가 쉽지 않아서… ㅡ.ㅡ)

Becky Candy 님께서 올리신 Common Feedback I give while Validating Building Projects on HOT’s Tasking Manager를 번역한 내용입니다.


HOT 태스킹 매니저(Tasking Manager)에서 작업물을 검토하는 동안 편집자(매퍼)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피드백을 통해 작업의 질을 개선하고 편집 작업을 계속하도록 장려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초보자는 매우 많은 오류를 범하기 때문에 가능한 한 오류를 빨리 발견해 건설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면 오류의 양을 줄이고 올바른 방향으로의 편집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전반적인 데이터 품질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건물 추가와 관련된 프로젝트를 검토하면서 기여자들에게 매우 자주 보내는 몇 가지 피드백을 간략하게 설명하고 개입의 중요성을 설명했습니다. HOT 태스킹 매니저에서 검토 작업을 할 때 이러한 의견을 자유롭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피드백 문장 중요성
직사각형이 아닌 건물 편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건물을 선택한 후 ‘Q’ 키를 누르면 건물을 직사각형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앞으로는 건물을 직사각형으로 정리해 주신다면 진심으로 감사드리겠습니다! 건물을 ‘자유롭게’ 그릴 때 직각이 아닌 불규칙한 각도의 모서리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실제로 대부분의 건물은 모서리가 직각이며, 지도를 그릴 때 이를 반영해야 합니다. 건물의 크기는 인도주의 활동을 수행할 지역의 인구 규모를 추정하는 데 자주 사용되기 때문에 건물 면적을 정확히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러 채의 건물을 하나로 합쳐서 그림 편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는 여러 건물을 합치지 않고 따로따로 그려 주신다면 더욱 감사드리겠습니다. 항공 사진을 최대한 가까이 확대해 건물의 윤곽을 확인하고 건물의 각 모서리를 주의 깊게 관찰하세요. 그림자, 토양, 지붕의 색상 및 초목의 변화를 찾아 건물을 구분하세요. 인도주의 단체는 건물의 크기로 그곳에 거주하는 인구를 추정합니다. 이를 통해 해당 지역 전체의 대략적인 인구를 추산하고, 가져가야 할 장비 및 의약품의 양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건물을 너무 크게 그리면 이러한 계산이 맞아떨어지지 않아 인구 추정이 부정확해집니다.
도로와 건물을 겹쳐서 그림 편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건물과 도로가 서로 교차하거나 연결되지 않도록 하려면 편집기를 확대해 건물 모서리를 조심스럽게 찍으세요. 도로가 건물과 겹치는 경우 건물을 그리기 전에 도로를 건물에서 분리한 후 알맞은 위치로 조정해야 합니다. 도로 데이터는 인도주의 단체에서 길을 찾을 때 사용합니다. 만약 도로와 건물이 겹칠 경우 도로가 건물에 의해 끊어진 것으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이동 시간이 몇 시간이나 더 걸릴 수 있습니다.
설명에서 언급한 항공 사진이 아닌 다른 것을 사용함 편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프로젝트 지침에 따르면 이 위치의 모든 건물을 포착할 수 있도록 다른 항공 사진을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Bing 항공 사진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직 그려지지 않은 건물이 많이 있습니다. 수많은 건물과 기타 지물들을 놓치는 일이 없도록 대부분의 프로젝트 관리자들은 가장 최근에 촬영된 항공 사진을 선정합니다.
중복해서 그림 편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건물을 추가하기 전에 이미 기존에 그려진 건물이 있는지 명확하게 보려면 편집기를 크게 확대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태스킹 매니저의 작업 사각형은 2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잠금이 해제되어 다른 사람이 마저 편집할 수 있도록 개방됩니다. 2시간이 지난 후에도 계속 작업을 하려면 다른 사람이 건물을 이중으로 그리지 않도록 사각형을 다시 한 번 잠궈 주세요. 위기 상황에서 자원을 적절히 할당할 수 있도록 모든 건물을 적절히 그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디(점)를 공유하는 건물 편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번에는 건물이 같은 점을 공유하거나 서로 겹치는 문제를 피하기 위해 충분히 가까이 확대해서 지도를 그려 주세요. 나중에 건물을 조정하거나 개선해야 하는 경우, 건물이 주변 지물과 마디를 공유하면 이 작업이 훨씬 더 어려워집니다.
건물에 잘못된 태그(예시: landuse=residential, area=yes)를 붙인 경우 편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몇몇 건물을 주거 지역으로 표시한 것을 발견했습니다. 다음에는 모든 건물을 ‘건물’로 표시(태그)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항공 사진으로 지도를 그릴 때는 건물의 용도를 파악하기보다는 보이는 모든 건물이 일반적인 건물이라고 가정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건물의 구체적인 용도를 나타내는 작업은 추후 현장에서 수행하게 됩니다. 현지/현장 매퍼가 접근하는 지물에 태그가 잘못 지정되면 잘못 안내할 수 있고, 그 결과 많은 시간을 낭비할 수도 있습니다.
빈 공간, 나무, 바위, 자동차, 심지어 코끼리(!)까지 건물로 그린 경우 편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물체가 건물인지 아닌지 명확하게 확인하려면 항공 사진을 확대해 보세요. 지붕과 지면, 그림자, 규칙적인 기하학적 모양(직사각형 또는 원)으로 나타난 색상의 차이를 찾아보세요. 다른 항공 사진을 사용해 눈에 보이는 형상이 실제로 건물이 맞는지 확실하게 비교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현지 매퍼/구호 요원은 건물이 없는 외딴 바위나 나무를 찾아다니느라 많은 시간을 낭비할 수 있으므로 잘못된 안내를 피하기 위해 물체를 정확하게 그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태그가 없는 지물 편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고자 하는 개체가 무엇인지 정확히 나타내 주어야 합니다. 태그가 없는 개체가 몇 있습니다. 개체를 그린 후 편집기 왼쪽에서 알맞은 태그를 선택해 주세요. 현지 매퍼는 자신이 어디로 접근하고 있는지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태그가 없는 직사각형은 들판도 될 수 있고, 숲도 될 수 있고, 무엇이든 될 수 있습니다. 현지 매퍼가 건물의 정보를 추가하려는 경우 건물로 표시되지 않은 직사각형 물체를 찾아다니느라 많은 시간을 낭비할 수 있습니다.
작업이 완료되지 않았음에도 ‘완료됨’ 표시를 함 편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작업 사각형은 ‘완료됨’으로 표시되었지만 아직 그려야 할 건물이 몇 채 남아 있습니다. 다음에는 작업을 ‘완료됨’로 제출하기 전에 모든 건물을 확실히 그렸는지 꼼꼼히 확인해 주신다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만약 모든 건물을 그리기 힘든 상황이라면 작업물을 제출하기 전에 ‘아니요’를 선택하세요. 그러면 작업 사각형의 잠금이 해제되고, 다른 사람이 편집을 마저 이어서 수 있습니다. 위기 상황에서 자원을 적절히 배분하거나 인도주의 활동을 효과적으로 계획하려면 모든 건물을 그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프로젝트 지침에서 언급하지 않은 지물을 그림 편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만 이 프로젝트는 건물만 그리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프로젝트 지침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앞으로도 열심히 참여해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인도주의 단체는 우선 순위에 따라 지도에 그릴 지물을 선정하는데, 다른 지물을 그리는 데 시간을 소비하면 프로젝트가 늦게 끝날 수 있습니다.

If I don’t conquer, am I conquered?

OSM 위키문서에서 ‘길’ 갈래 가운데 주요길 갈래에는 motorway, trunk, primary, secondary, tertiary, unclassified, residential 같은 여러 값이 있습니다.(unclassified는 한국에는 해당하지 않음)
이 가운데 ‘motorway’는 ‘고속도로’, ‘trunk’는 ‘고속화도로’로 또렷하게 갈래지을 수 있겠습니다.(‘고속화도로’는 주요도로 가운데 계층적 성격에서는 살짤 벗어나기는 하지만 그 특성이 또렷하고 독립적이기에 계층적 갈래에 넣어도 문제가 없다고 봅니다.)
나머지는 우리나라 실정에서 갈래짓는 기준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볼 수 있어 꼭맞게 떨어지도록 갈래짓기는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한국의 실정에만 맞게 새로 키 값을 만들기도 그렇고, 이왕이면 있는 공통 키 값에 가장 비슷하게 맞물리게 하고자, 여러 길의 속성들을 살펴 볼까 합니다.

먼저, 우리나라 길[도로] 체계부터 알아야 할텐데, ‘관리 주체에 따라’, ‘기능에 따라’ 혹은 ‘사용형태나 규모에 따라, 여러가지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
“도로법”에 따르면 관리 주체에 따르면,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노선은 공기업 한국도로공사가 국토교통부로부터 위탁받아 건설, 유지 및 관리를 하고 있는 ‘고속국도’(고속도로), 각 지방자치단체에 있는 지방국토관리청에서 관리하는 ‘일반 국도’, 특별시장·광역시장이 관리하는 ‘특별시도·광역시도’, 그 밖에 시장·도지사가 관리하는 ‘지방도’, 시장·군수·구청장이 관리하는 기타 군,시도 그리고 역시 시장·도지사가 관리하는 국가지원지방도(국지도)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크게는 ‘고속국도’, ‘일반 국도‘그리고 광역 지자체장이 관리하는 ‘특별시도·광역시도’와 ‘지방도’를 묶어서 ‘지방도’, 시장·군수·구청장이 관리하는 ‘시도·군도·구도’ 정도로 뭉뚱그려 나눌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 밖에도 차선 수나 넓이에 따라 나누기도 하고, 기능에 따라 ‘주도로’, ‘간선도로’, ‘집산도로’, 규모에 따라 ‘광로’, ‘대로’, ‘중로’, ‘소로’처럼 나누기도 하나 그 나눔이 그리 또렷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OSM의 계층적 분류에 따라 ‘고속국도’(고속도로)는 ‘highway=motorway’로, ‘일반 국도’는 ‘highway=primary’, ‘지방도’는 ‘highway=secondary’, 그 밖의 ‘시도·군도·구도’는 ‘highway=tertiary’로 나눌 수도 있을 것 같은데, 개념 상으로는 구분이 뚜렷하고 별 문제가 없으나, 일반 사람은 쉽게 알기 어려운 정보가 들어 있어, 이와 함께 좀더 알기 쉬운 기준과 함께 정리를 해 볼까 합니다.

먼저, 여러 분류 기준 가운데 가장 확실하고 ‘그나마’ 또렷한 기준은 ‘관리 주체’를 기준으로 한 분류겠으나 판단하기가 까다롭거나 어렵기 때문에,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작한 지도를 기본으로 하고 있는 국토부 ‘브이월드‘나 상업지도 가운데 일부는 색깔로서 비교적 또렷하게 구분을 해 주고 있어 참고를 하기가 좋습니다.

상업지도인 '다음지도'에서 국토부 지도인 '브이월드'에서 수원 시청 근방을 보기를 들어 보겠습니다.(‘수원수원수원’ 님 고맙습니다. ^^)
위 지도는 상업지도인 ‘다음지도’이고 아래는 국토부 지도인 ‘브이월드’입니다.(본디 지도의 색깔과 견줘 보시라고 선의 일부는 비워서 지도에서의 색깔이 보이도록 했습니다.)
이미지에서 붉은 선은 ‘경수대로’로 primary가 되겠습니다.
여기서 주의하셔야 할 것은, ‘~대로’, ‘~로’, ‘~길’을 규모에 따라 나눈 것이므로 반드시 이 구분과 똑같지는 않습니다. 쉽게 얘기해서 primary 가운데 ‘~대로’가 많기는 하지만 가끔은 ‘~대로’가 secondary가 되고 ‘~로’가 primary인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길 이름 등급에 따라 판단하시면 안 됩니다.
파란 선(바탕 색깔 때문에 자주색처럼 보입니다만…)은 secondary가 되겠습니다.
연두 선은 tertiary가 되겠습니다.(국토부 ‘브이월드’에서나 상업지도에서도 색깔은 없고 이름이 ‘~로’입니다.)
이미지에서는 연두색으로 표시했습니다만, 지도를 찾아 보시면 아시겠지만 secondary와 tertiary의 차이를 느끼기 어렵습니다. 이건 아무래도 관리주체에 따른 분류 쪽을 따라는 것 같습니다.(‘브이월드’나 ‘다음지도’에서 ‘~로’이면서 고유 색깔이 있으면 secondary, ‘~로’이면서 아무 색깔이 없으면 tertiary)
그 다음, 색깔이 없으면서 ‘~길’은 residential이 되는 것입니다.(적어도 주요도로 분류 가운데서는 ‘residential’이 된다는 뜻이지, 모든 ‘~길’이 residential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비주요도로는 계층적 구분이 아니므로 이름이 ‘~길’이라고 해서 반드시 residential이 아닐 수도 있으며, 특히 시골 지역에는 비주요도로로 임도나 농사길에도 ‘~길’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굳이 계층적 분류에 얽매이지 말고 track으로 지정해도 괜찮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시 한번 정리를 해 보겠습니다.(한국-남한-에만 해당됩니다.)

  • motorway : 고속국도(고속도로)
  • trunk : 고속화도로(도시고속도로 등)
  • primary : 일반 국도. 국토부 지도인 ‘브이월드’ 기준으로 연주홍선. 다음지도 기준으로 주황선.
  • secondary : (광역 지자체장이 관리하는 ‘특별시도·광역시도’와 ‘지방도’를 묶어서)지방도. 국토부 지도인 ‘브이월드’ 기준으로 연자주선. 다음지도 기준으로 연주황선.
  • tertiary : 시도·군도·구도. 국토부 ‘브이월드’에서나 상업지도에서 무색선 가운데 ‘~로’
  • unclassified : 한국에는 해당 없습니다.
  • residential : 주거지 안길이면서 무색선 가운데 ‘~길’.

본디 글은 ‘OSM에서 ‘길’(Key:highway) 가운데 ‘주요도로’ 갈래지어 보기 입니다. 본디 글이 나중에 더 다음어 졌을 수도 있습니다.

본디 글은 OSM에서 ‘길’(Key:highway)에 대한 정리입니다. 본디글이 나중에 더 다듬어 졌을 수 있습니다.(2023년 4월 29일 마지막 고침)

지도에서 중요한 요소이기도 한 ‘‘이 OSM 편집에서는 참으로 애매하고 그래서 사람마다 받아들이는 것이 달라 제각각으로 규정하는 요소이기도 합니다.
여러 군데서 말했지만, 이는 아마도 일단 동양(동아시아?)와 서양(유럽과 미국?)이 발전해 온 역사하고도 상관이 있는 것 같고(서양은 ‘길’ 중심, 동양은 ‘마을’ 중심이라는 비교문화학 쪽의 해석도 있습니다.) 나라마다 사정이 다른 데에도 큰 까닭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여기서는 굳이 OSM 위키문서의 분류 기준에 우리나라 도로를 억지로 끼워넣지 않고, 그냥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해석 정도만 해 볼까 합니다.

주요도로‘에 대하여

‘주요도로’는 길(도로)의 등급 분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단계적 분류라고 볼 수도 있지만, 홀로 특성(요건)을 가진다는 뜻도 있습니다.(쉽게 말해 highway이면서 일부 residential 혹은 service의 속성도 가질 수는 없다는 뜻입니다.)
‘highway=motorway’는 확실히 고속도로가 해당이 되겠고, ‘highway=trunk’는 한국 실정에서는 ‘고속화도로’(도시고속도로 등)에 걸맞을 것 같습니다.(‘고속화도로’와 가끔 헷갈려 하는 ‘자동차 전용도로’ 설명은 아래에 있습니다.)
아~주 헷갈리는 것으로 ‘key:expressway‘가 있습니다.
‘highway=primary’, ‘highway=secondary’, ‘highway=tertiary’, ‘highway=unclassified’, ‘highway=residential’을 구분짓기는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어떤 분은 (motorway, trunk 말고는)도로의 차선 수나 도로 폭 같은 것을 기준으로 나누자고 하는 의견도 있으나 우리나라 도로체계와 실제 도로를 견줘보자면 차선 수나 도로 폭의 넓이가 도로의 계층적 구분 기준과 맞아떨어지지 않는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이 부분은 아직까지는 도저히 제대로 정리가 되지 않으므로 더 공부해서 정리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마도 이 부분이 ‘길’ 중심의 서양 혹은 땅이 넓은 나라와 ‘마을’ 중심의 동양 혹은 땅이 좁은 나라의 차이가 아닐까도 싶습니다.
highway=residential : 마을 사이를 연결하는 기능은 없으며 주택 접근 시 사용하는 도로. 여기서 ‘연결’은 마을 사이를 잇는 주도로로 쓰이지 않는다는 뜻이지 길로써 이어지지 않는다는 뜻은 아니라고 봅니다. OSM 의 웹편집기인 iD에서는 ‘주거 도로’라고 번역되어 있으나 아래 비주요도로와 함께 보자면 꽤 헷갈리는 번역이라고 봅니다.(번역 탓이 아닌 개념의 상대성 탓)
우리나라의 왠만한 마을 안길, 이면도로는 residential이거나 unclassified(OSM 위키문서에 남한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되어 있습니다.) 아주 가끔 다른 주거지와 연결하는 구실이 큰 경우에는 tertiary로 쓸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시 정리해서 조금 덧붙이자면, 우리나라 상황과 실정에 비추어 개념이 서로 좀 겹치는 것 같기는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왠만한 주거지 안의 비주요도로, 이면도로는 living_street 보다는 residential 쪽이 더 알맞지 않나 하는 것입니다. 주택단지나 아파트 단지 안길은 오히려 living_street에 가까워 보이고…)

‘고속화도로’와 가끔 헷갈려 하는 ‘자동차 전용도로’는 도로의 분류 체계가 아니라 그냥 속성으로 보아야 합니다. 어차피 motorway나 trunk에는 그 길을 쓸 수 있는 교통구가 지정되어 있으므로 따로 덧붙일 필요가 없으며, 그 밖의 의 경우에는 주요도로의 속성에 ‘motorroad=yes’를 곁들여서 써야 한다고 합니다.(OSM 사랑방에서 ‘曹县18环’ 님 글.) – 자동차전용도로, 고속화도로(도시고속도로) 지도(비공식입니다.)

연결도로‘에 대하여

연결도로는 상위 도로에 따라 이름을 붙이면 됩니다.
보기를 들어, secondary 길과 primary 길을 이어주는 길이라면 상위 도로를 따라 primary_link가 되는 식입니다.

특수한 도로‘(비주요도로)에 대하여

먼저, 주요도로의 경우에는 상위, 하위의 계층적인 개념으로 받아들일 수 있으나, ‘특수한 도로’의 경우에는 계층적인 개념없이 쓰임새로 나누었다고 받아들여야 합니다.

  • highway=living_street : 주택가 도로. 법적으로 자동차보다 보행자가 먼저이고, 속도가 매우 낮게 억제되어 어린이가 도로에서 놀 수 있는 주거 지역의 도로. 개념 상으로는 마을 안길과 거의 모든 이면도로가 다 여기에 해당할 것 같지만, 적어도 우리나라 교통 법규와 운전자들의 인식에 비춰서 이런 도로가 얼마나 있을까 싶습니다.(다만 보행자 전용도로는 ‘highway=pedestrian’이 있습니다.) 미국 같은 곳의 주택 단지 안길이 여기에 해당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우리나라도 (주거밀집지역 말고)주택 단지 안길이나 아파트 단지 안길은 living_street 쪽이 더 알맞지 않을까 싶습니다. OSM 위키 문서에 보면, 일본은 특별히 법으로 이와 비슷하게 지정된 개념이 없고 다만 속도 제한 정도가 있다 하는데 우리나라도 이와 비슷하게 볼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 highway=service : 서비스 도로 혹은 접근 도로. 어떤 장소나 시설에 ‘접근하기 위한 쓰임새’의 도로. 그 길이 접근하는 쓰임새로 만들어진 경우이지, 어떤 곳에 접근하는 길이 모두 해당하는 건 아니라고 봅니다. 여기서 제가 ‘어떤 곳에 접근하는 길’이 아니라고 보는 것은, 비록 그 단지가 홀로 쓰고 있다 하더라도 공공부지에 난 길은 관리 주체도 다르고 나중에 다른 곳에 접근하기 위한 통로가 뚫릴 수도 있으므로 아니라고 보는 것입니다.(제 해석입니다. 사람마다 다 다르게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주택 밀집 지역이나 아파트 단지의 부지이면서 그 곳에 접근하기 위한 곳이라면 확실히 ‘서비스 도로’로 보아야 할 것입니다. 아울러 공공부지라도 한 개인의 사유지에 둘러싸여 있다면 그 소유자 말고는 다른 쓰임새로 쓰기 어려우므로 이건 서비스 도로로 보아도 좋을 것입니다. 우리가 흔히 영화에서 보던 들판 가운데 집을 생각해 보면, 사유지에 둘러싸여 있으므로 그 사유지들에 접근하는 쓰임새로 밖에 쓰일 수 없는데 이런 경우가 아닐까 싶습니다. 얼마 전 (우리나라)어느 아파트 단지 앞 길은, 큰 길에서 갈라져 들어가다가(여기까지는 ‘주거 도로’로 봄), 아파트 단지 사유지를 거쳐(여기부터는 ‘서비스 도로’) 아파트 정문으로 들어가는 길도 있었습니다. – 보기 참고로, 완전히 사유지 안의 사유지 도로에 대해서는 (‘서비스 도로’와 곁들여 쓰는)‘사유지 도로’(service=driveway)가 있습니다.
  • highway=pedestrian : 보행자 도로. 이것은 차도와 같이 넓고 아스팔트가 깔려있더라도 차도는 아닙니다만, 다만, 특별하게 시간제로 혹은 그 안의 가게 등에 접근하기 위해 차량이 지나갈 수도 있습니다.
  • highway=track : 농로 혹은 임도. 보통은 시멘트로 포장되어 있거나 흙길입니다만, 드물게 아스팔트로 포장된 곳도 있을 수 있습니다.
  • highway=road : 길의 갈래를 정확히 모를 때 쓰라고 되어 있습니다.
  • highway=bus : 이건 또 뭡니까? ‘버스전용차선’과는 다른 듯…(공부하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특히 ‘highway=residential’과 ‘highway=living_street’은 우리나라 현실에서는 흐릿하게 뒤섞여 있는 것 같습니다.
마을을 이어주는 구실은 없고 주거지 안을 이어준다는 점에서는 마을 안길이나 왠만한 이면도로는 ‘highway=living_street’에 가까울 것 같은데, 법의 적용이나 그 내용을 보자면 ‘highway=living_street’으로도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른 나라 사정까지 고려해서 저는 그냥 왠만하면 ‘highway=residential’로 쓰는 쪽입니다.(따지기 복잡하고 귀찮으니까… ^^;; )

그 밖의 길 갈래 가운데 사람이 주로 쓰는 길 갈래에 대해서는 ‘OSM에서 사람이 주로 쓰는 길 갈래 몇 가지에 대하여’를 봐 주시기 바랍니다.

분리된 양쪽 차로와 분리되지 않은 양쪽 차로

한쪽통행로(일방통행로)와 견고한 중앙분리대 없는 양 방향 찻길은 줄 하나로 그리고, 견고한 중앙분리대가 있거나 교통섬 혹은 교통 녹지로 나누어진 찻길은 줄 두 개로 따로 그리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그것이 이치에도 맞을 뿐더러 그리다 보면 샛길로 갈라지는 길이 있는데, 견고한 중앙분리대가 있는 길을 선 하나로 그리면 회전을 할 수 있는지 없는지까지 해 주어야 하고 이것이 지도에서는 바로 알아챌 수 없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입니다.(그런데, 견고한데 움직일 수 있는 이동형 중앙분리대도 있습니다. 어쩔… ㅡ.ㅡ;; )
그리고 사이에 녹지 같은 것을 둔 길인 경우에는 확실히 한 차로를 한쪽통행로로 짝맞춰 그려야 할 것입니다.(방향에 따라서 한 줄씩 따로!)

인도와 자전거 길

인도나 자전거 길의 경우에는 차도와 연석이나 견고한 가드레일로 분리된 경우도 있고 차로 옆에 색깔이나 볼라드로 분리된 경우도 있는데, 연석이나 견고한 가드레일로 분리된 경우에는 되도록 따로 그리는 것이 좋다고 보고, 색깔이나 볼라드(가끔은 플라스틱 가드레일. 사실 이건 무단횡단을 막는 쓰임새가 크다고 봅니다.)로만 구분된 경우에는 차로 속성에서 어느 쪽이 있는지 위치만 지정해 주는 정도가 좋다고 봅니다.
가끔 자전거길이 차도가 아니라 인도 옆에 있는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할지 좀더 살펴 보겠습니다.(요즘은 ‘자전거’는 교통구인데 인도 옆에 있으면 안 되는 것 아닐까요?)

서비스도로와 주차장 통로 그리고 주차장 출입구

OSM 편집을 하다 보면 드물지 않게 보는 ‘길’과 관련된 것에 대해 덧붙입니다. 주차장에 들어서기까지의 도로는 ‘서비스 도로’(접근 도로)로 보아야 하며, 주차장을 들어서서 추차구역에 접근하는 길은 ‘주차장 통로’로 보아야 합니다. 다만 주차장이나 추자구역 안이라도 지나가는 길 쓰임새가 큰 경우에는 역시 ‘서비스 도로’가 되어야 합니다.
아울러, ‘주차장 출입구’(amenity=parking_entrance)는 모든 주차장 혹은 주차구역의 출입구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지하나 다층 주차시설에 접근하는 입구나 출구를 표시할 때 써야 합니다.(즉 지상 주차장이나 노변 주차장의 출입구에는 쓰면 안 됩니다.)

‘보행자 전용도로’와 ‘보행자 우선도로’ 그리고 ‘생활도로’의 개념 차이

  • 보행자전용도로 : 보행자만 다니도록 되어 있으나 특수한 경우 혹은 특정 시간대에는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는 선에서 차량도 다닐 ‘수’ 있음.
  • 보행자우선도로 : 차량과 사람이 섞여 다닐 수 있으나 차량은 사람의 안전을 해쳐서는 안 됨.(사람도 일부러 차량 통행을 방해해서는 안 됨) 한국에서는 차량이 20km/h 속도 제한 등 보행자 보호 의무가 있음(어린이보호구역 제한은 30km/h)
  • 생활도로 : 일단 한국에서 (법률에 규정된)공식적인 낱말은 아닌 것 같습니다. 대체로 30km/h의 속도 제한이 있는 모양입니다. 주거지 주변 이면도로는 모두 보행자가 우선되어야 하고 적어도 따로 규정하지 않아도 ‘생활도로’ 수준의 규제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만, 현실은 그렇지 못한 모양… ㅡ.ㅡ;
    ‘보행자우선도로’는 차량도 다닐 수 있는 길이므로 차선이나 일부 차량을 위한 교통 표시가 있습니다. ‘보행자전용도로’는 교통표지판 말고는 차량을 위한 교통 표시가 없지만, 구역 안에 주차공간이 있거나 한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생활도로’는 주거지, 주택가의 모든 이면도로가 해당되는 것은 아니고 교통표시와 표지판으로 구분이 된다고 합니다.

제 마음대로 정리

  • OSM 위키 영문판의 구분이 우리나라 상황과 맞지 않아 1:1도 딱 맞대기가 어렵다.
  • 그럼에도 억지로 짜맞추자면 위와 같다.

Anton Khorev 님의 글을 보고 세로 화면이 아닌 가로 화면으로 iD 편집기를 열면 어떻게 될지 한번 알아보았습니다.

태블릿에서 iD 편집기를 연 모습

갤럭시 Tab S7에서 구글 크롬으로 iD 편집기를 열어 보았습니다. 이 상태에서도 충분히 편집이 가능하지만, 전체화면으로 바꿀 수 있다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갤럭시 Tab S7용 키보드 전체화면으로 전환한 모습

태블릿에 키보드를 연결한 후, F11을 누르면 전체화면 모드로 바꿀 수 있습니다.

태블릿에서 iD 편집기로 건물을 추가한 모습

마우스까지 연결한다면 더 좋겠지만, 일단 키보드에 내장된 터치패드를 이용해 iD 편집기에서 건물을 그리고 building=apartment, building:levels=3을 입력한 후 업로드했습니다. 속도는 컴퓨터에서 iD를 열었을 때와 거의 똑같고, 조작감도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이렇게 태블릿에서 편집기를 여는 방식은 걸어다니면서 편집하기에는 그다지 적합하지 않고, 야외에서 노트북보다 가벼우면서 터치까지 되는 태블릿을 들고 다니다가 아무 곳에서나 앉아서 OSM을 편집할 수 있다는 것에 장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Posted by YH Whang on 28 March 2023 in Korean (한국어).

양재 양곡도매 센터에서 출발하여 옥녀봉, 매봉, 이수봉, 국사봉 의왕시 청계산으로 하산. 진달래가 만발하고 인근 사람들로 인하여 북새통을 이루고 특히 판교에 위치한 IT 회사 등반대회라 그런지 젊은이들이 6,70%는 되는 것 같다. 자원 봉사자들이 맹인들과 산행하는 모습이 보기 좋았다. 그들도 우리 처럼 생강나무 꽃, 진달래, 개나리 등 봄 꽃들을 시각적으로 즐길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라는 생각을 한다. 집 사람은 국사봉까지 오는 것이 부담이 되는 것 같아서 중간에 청계사로 하산 시키고 나는 능선을 타고 3.5km 정도 거리를 더 걸은 것 같다. 하산 지점 북청계 요금소 아래로 의왕시 청계동 옥박골 사거리에서 인덕역을 향하여 마을 버스를 탔는데 역방향인 청계사 쪽으로 가는 것 같아서 버스 기사님에서 질문하니 잘못 탔다고 해서 하차하여 반대편에서 탔는데 마침 집사람이 타고 있어서 반가웠다.